데이터리안 데이터분석가 단톡방에서 NOT IN을 쓰는 것보다 NOT EXISTS를 쓰는 것이 row가 많은 데이터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이야기가 있어, 의식적으로 쿼리를 짤때 NOT IN 대신 NOT EXISTS를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그런데 IN 과 EXISTS의 쿼리 작동방식이 달라 주의해야할 점이 있어 그 점에 대해 기록해보려고 한다. IN 구문 : 실제 데이터들의 모든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 EXISTS 구문 : 해당 ROW 가 존재하는지만 확인 >> 동작방법 1. 서브쿼리를 먼저 실행하여 출력되는 모든 row(요소) 가져옴 2. 메인쿼리에서 row 하나를 가져옴 3. 2번에서 가져온 row의 값이 1번에서 가져온 IN 이하 요소와 일치되는지를 체크하고, 하나라도 일치하면 해당 메인쿼리 r..